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7

ETF란? ETF의 개념을 설명드립니다. ETF는 뭔가요? ETF는 주식처럼 사고파는 즉 거래되는 펀드상품으로, 거래세는 제외되어 세금이 붙지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주식은 일정 부분 세금을 내야 하지만 ETF는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ETF는 Exchang Traded Fund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를 말합니다. 이는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지수 상품으로 종류가 다양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여러 증권사가 존재하는데요, 각 증권사마다 ETF를 출시하기 때문에 어느 증권사에서 지수펀드를 출시했느냐에 따라 (또는 펀드 안에서 업종에 따라) 그 명칭이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ETF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1. KODEX 레버리지: 코스피 200 지수를 따라 움직이되, 코스피 200 지수의 2배씩 움직입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200 .. 2023. 1. 27.
실내 마스크 해제 2023년 1월 30일부터 실내 마스크에 대한 규제가 자율, 권고로 전환됩니다. 27개월여 만에 마스크 착용 의무 1단계가 해제됩니다. 질병청장은 완전한 일상회복을 위해 코로나19를 '통제 가능한 유행'으로 관리한다고 하는데요, 30일부터 달라지는 마스크 착용 의무!! 그 조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실내 마스크 해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지표(4가지) 1. 주간 환자 발생 2주 이상 연속 감소 2.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전주 대비 감소, 주간 치명률 0.10% 이하 3. 4주 내 동원 가능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 50% 이상 4. 동절기 추가 접종률 고령자 50%, 감염취약시설 60% 이상 정부는 위 4가지 지표 중 2가지 이상이 충족될 경우 종합적 판단을 거쳐 1단계로 일부 시설을 제외한 실내에서.. 2023. 1. 20.
전세 계약 유의 사항 요즘 전세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특히 일명 '빌라왕'의 죽음과 그 배후자들의 행각이 드러나면서 우리나라 전세 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데요. 여기에서는 전세 계약 시 유의 사항을 체결 전, 체결 시, 체결 후로 나누어 유의 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전세 계약 유의 사항 '체결 전' 유의 사항 1. 무허가, 불법 건축물 여부 확인 - 전입신고를 할 수없는 무허가, 불법 건축물은 '주택임대차보호법' 적용을 받지 않아 보증금 보호가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도움 : 현장 방문 및 건축대장 열람을 통해 무허가, 불법 여부를 확인하세요) 2. 적정 시세 확인 - 매매가가 하락하거나 경매 시 보증금 전액 반환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 2023. 1. 17.
연말 정산 변경 내용 2023년 2월 급여일 전까지 끝내야 하는 2022년 연말정산 날이 다가옵니다. 여기에서는 2021년에 비해 2022년 연말 정산 변경 내용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연말 정산 변경 내용 1.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2022년 7월부터 12월까지 지출한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대한 공제율이 한시적으로 40%에서 80%로 두 배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1) 신용카드 등 소비증가분 소득공제는 계속 적용되며, 전통시장 사용금액 소비증가분(2021년 대비 2022년 사용 금액 5% 초과하여 증가한 금액)에 대한 소득공제가 추가되었습니다. 2) 신용카드 등 소비증가분과 전통시장 소비증가분은 각각 20%의 소득 공제가 가능하며, 소비증가분 합계액에 대해서는 100만원 한도로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현 행 개 정 ▢신.. 2023. 1. 17.
연말 정산 일정 2022년 근로소득이 있는 모든 근로자(일용근로자 제외)는 2023년 2월분 급여를 지급받을 때까지 연말정산을 해야 합니다. 2022년 근로 소득 연말정산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말 정산 일정 알림 간소화 서비스는 1월 15일에 개통 예정입니다. 따라서 회사는 근로자 명단을 1월 14일까지 홈택스에 등록해야 하고 근로자는 1월 19일까지 홈택스에서 확인(동의) 해야 합니다. 연말정산 주요 일정(일괄제공 서비스 신청한 경우) 연말정산 주요 일정(일괄제공 서비스 신청하지 않은 경우) 그 외 연말정산 QnA 1. 연도 중 회사를 옮긴 경우나 여러 회사에서 급여를 받는 경우 연말정산을 어떻게 하는지? - 12월 말 근무지에서 전 근무지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여야 합니다. 여러 근무처에서 소득이 발생.. 2023.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