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주식 투자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낮은 가격에 매수하고 높은 가격에 매도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처럼 쉽게 되는 게 아니죠. 그래서 우리는 여러 통계의 도움을 받거나 지표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매수할 시점과 매도할 시점을 잡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RS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SI란?
1. RSI 개념
RSI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하여, 과매수와 과매도로 나타내어 매수할 시점과 매도할 시점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입니다. 변화량의 평균값은 백분율로 계산되어 0부터 100까지 나타내는데 70% 이상은 과매수라고 하여 매도 시점을 잡는데 도움을 주며, 30% 이하는 과매도라 하여 매수 시점을 잡는데 도움을 줍니다.
2. RSI 활용하기
RSI는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잡아내는데 효율적이라는 장점을 가집니다. 특히 기본적으로 상승장이나 하락장보다는 박스권장에서 그 효력이 발휘됩니다. 개념에서 말씀드렸 듯이 과매수일 때 매도해야 하고, 과매도일 때 매수해야 하는데 상승장일 때는 과매수가 나타나더라도 주가가 하락하지 않고 계속해서 올라가며 하락장일 때는 과매도가 나타나더라도 주가가 상승하지 않고 계속해서 내려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유의해야 할 점은 상승장이나 하락장에서는 효율이 극도로 떨어진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실전으로 투자를 할 때 RSI를 활용해 보겠습니다. RSI가 30% 아래에서 지속되고 있다가 30% 선을 뚫고 올라갈 때 매수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RSI가 70% 위에서 지속되고 있다가 70% 선을 뚫고 내려갈 때 매도하시면 됩니다. 또 다른 전략으로는 RSI가 50% 선을 뚫고 올라갈 때 매수하고, 50% 선을 뚫고 내려갈 때 매도합니다. 이 전략은 보수적인(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략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의 차트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과매수 국면에 접어들었을 때 주가는 하락하였고, 과매도 국면에 접어들었을 때 주가는 올라갔습니다. 아주 간단한 원리로 매수와 매도 시점을 잡는다는 것이 의심스러울 수 있으나 주식에서 지표는 언제까지나 참고할 상황이라는 것 꼭 기억해 주시고요, RSI 또한 보조지표 중 하나일 뿐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박스권을 형성하는 장일 때 RSI 지표는 막강한 힘을 발휘하니 이를 활용한다면 좋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