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수수료, 주식 세금

by 많은희망 2023. 2. 17.
주식에 투자를 하면 당연하게 붙는 것이 수수료와 세금입니다. 여기서 수수료는 특정 증권사에서 주식을 매수, 매도할 때마다  일정 금액을 내야 금액이며, 세금은 매도할 시 거래대금에서 일정 %를 떼어가는 것을 뜻합니다.

주식 수수료 주식 세금

1. 주식 수수료

주식 수수료는 증권사마다 다릅지만 매수금이나 매도금의 평균 0.012%에서 0.015%를 냅니다. 요즘에는 비대면증권계좌 이벤트로 수수료를 무료로 해 주는 증권사가 많으니 검색 후 가장 낮은 증권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자신이 투자 스타일이 단타 위주라면 더욱더 낮은 수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많은 거래를 할 경우 증권사와 상호 협의하여 수수료를 줄일 수 있으니 각자의 상황에 맞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주식 세금

주식을 매수할 때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지만, 매도할 때는 0.3%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 세금 때문에(또한 수수료 때문에) 같은 금액으로 매수하고 매도하더라도 결국은 손해를 입게 됩니다. 따라서 매수 금액보다 최소 1~2% 높은 금액에 매도하여야 실제로 내 손으로 떨어지는 금액이 같거나 다소 많을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주식 종목의 금액에 차이가 없더라고 매수, 매도할 때마다 일정 금액을 내고 있으니 그만큼 신중한 투자가 필요니다. 

3. 배당금 세금

배당금의 경우 이자와 배당의 합산 금액인 금융소독이 연간 2,000만 원 이하라면 15.4%의 세금이 붙습니다. 우리가 받아 보는 배당금은 이미 15.4%의 세금을 공제한 금액입니다. 그러나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이 넘으면 초과한 금액에 한해서 금융소득종합과세가 적용되어 1,200만 원 이하는 6%의 세금을 더 내게 됩니다. 만약 초과금이 1,200만 원~4,600만 원에 속한다면 15%까지 치솟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 해에 4,000만 원의 배당금을 받게 된다면, 4,000만 원의 15.4%인 616만 원을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아까운 금액이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의 위험성을 무릅쓰고 수익금을 얻었는데 거기에 수수료와 세금을 내야 하다니요! 그러나 우리나라 법이 그러하다니 눈물을 머금고 내야 합니다. 세금이 아까워 수익을 일부러 줄이는 투자자는 없겠죠? 경제적 자유를 위해 오늘도 노력해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