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레버리지, 레버리지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by 많은희망 2023. 3. 9.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레버리지, 인버스 등의 주식 용어를 쉽게 만나게 됩니다. 가끔은 어려운 용어가 나올 때마다 문맥으로 해석하면서 대충 그 의미를 파악해 보기도 하지만 정확한 용어의 의미를 알아야지만 소중한 내 자본금을 지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레버리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레버리지

1. 레버리지

레버리지는 영어로 leverage이며 우리말로 직역하면 '지렛대'입니다. 누구나 아는 바와 같이 지렛대를 이용하면 실제 힘보다 몇 배 더 무거운 물건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를 주식 투자나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 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 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라고 명명합니다. 

정리하자면 자산을 투자할 때 수익을 증대시키기 위해 차입자본(부채)을 끌어다가 자산매입에 나서는 전략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자본금이 100만 원이 있는 경우 투자하여 10%의 수익을 냈다면 10만 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400만 원의 차입금(부채)을 추가하여 500만 원을 투자했다면 50만 원의 수익을 얻게 되죠. 즉, 레버리지를 통해 차입비용을 제외하면 자가 자본금 대비 50%의 수익을 얻게 되는 겁니다. 

이러한 레버리지는 증거금 제도를 통해 실현됩니다. 증거금 20%인 주식에 투자할 경우 자기 자본금이 100만 원이더라도 주식 매입은 500만 원을 할 수 있는 것이죠. 투자한 종목이 20%만 상승하더라도 500만 원의 20%인 100만 원의 수익이 발생되니 결국 자기 자본금 100만 원으로 100만 원의 수익을 내게 되어 100% 수익을 얻게 되는 구조입니다. 

2. 레버리지 활용

레버리지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신용거래와 미수거래가 있습니다. 크게 보면 주택담보대출을 받거나 직장인신용대출을 받아서 주식에 투자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이유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한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통해 매년 수익을 10% 올리고 있다고 가정할 때, 보통 신용대출이나 직장인 대출 금리가 3~6%라면 레버리지를 활용하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게 되는 겁니다. 자기 자본금에 대출을 받은 돈을 합쳐서 주식에 투자하면 10%의 수익을 올리게 되고, 대출 금리 3~6%를 갚아도 매년 4~7%의 수익을 보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죠. 즉 매년 수익률보다 대출 금리가 낮다면 레버리지를 활용해서 투자하는 것이 결국 이득을 보게 되는 구조입니다. 

 

레버리지의 활용은 수익률을 극대화시켜주는 효과가 분명히 있지만 그만큼 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자기 자본금을 뛰어넘는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 투자의 격언 중에 '남의 돈으로 투자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말이 있듯이 레버리지의 활용은 신중 또 신중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