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by 많은희망 2023. 5. 9.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그 반대 의미를 지니고 있는 디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경제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 보셨을 텐데요, 경제를 읽는 눈을 키우기 위해서라도 경제 용어는 필수로 알아야 합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고요.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1.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한 국가의 전반적인 모든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물가의 상승은 화폐의 가치를 낮추고 화폐 가치의 하락은 환율을 오르게 하여 달러나 엔화 등의 화폐 교환 시 높은 가격으로 살 수밖에 없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은 통화량의 증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화폐 발행량이 많아지면서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죠. 돈은 많이 찍어서 시장에 유통하게 되면 전체적인 화폐 가치가 줄어들게 되고 물품을 구입할 때 더 많은 화폐를 지불해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플레이션 현상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꼭 나쁜 현상은 아닙니다.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화폐 환수량은 줄어들게 되면서 자연스레 매년 화폐를 발행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다수의 경제학자들은 자본주의에서 적정한 인플레이션은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제시합니다. 그래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에 따라서 최저임금 등이 계속해서 인상되며 부동산, 주식 등은 계속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함으로서 소지한 돈의 화폐 가치를 지키기 위해 여러 투자활동 등을 촉진하게 되며 시중 화폐 유동량이 증가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될 때에는 저금리이기 때문에 돈을 보관한다 것에 기회비용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2. 디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은 한 국가의 전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의 반대 의미로 통화의 유동성 축소로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자본주의에서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에 비해서 드문 경우인데, 이는 과도한 디플레이션이 오기 전에 디플레이션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디플레이션을 조절하기 위한 주요 정책으로는 시중 유통 통화량을 줄이기 위한 금리 인상이 대표적입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돈을 은행에 보관하여 자산증식을 도모하며, 소비가 줄어들고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일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정책 방향 상 임금 하락과 물가 하락이 장기간 지속되는 방향으로 지속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디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되면 실업자 증대, 기업 도산, 생산 축소 등 전반적인 시장 경제가 망가집니다. 그래서 이러한 상황을 타계하기 위해서라도 국가에서는 의도적으로 인플레이션 상황을 만들기 우해 화폐량을 과도하게 발행하거나, 금리를 낮춰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3.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테그네이션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경기 침체 현상이 발생하나 전반적인 물가는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최악의 상황의 원인은 총공급이 줄어들어 물가는 상승하는데 GDP가 낮아지며, 투자 위축이 발생하여 실업률이 크게 상승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예시로 1970년 중동국가에서 석유를 자원 무기로 사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석유 공급을 줄여서 원유 가격이 폭등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반적인 물가가 올랐고 결국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습니다. 경제의 발전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아니였기 때문에 결국 경제 침체와 실업률의 증가를 가져오게 됩니다. 

댓글